현대제철 인천공장 셧다운, 한국 철강산업의 위기와 대책 (노조, 철근 수요, 해외 진출)
현대제철 인천공장 현대제철 인천공장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철근공장의 전면 셧다운을 결정했다. 철근 수요 감소, 산업용 전기료 인상, 강성 노조 문제까지 겹치면서 한국 철강업계가 위기를 맞고 있다. 현대제철의 이번 결정이 지역 경제와 국내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대책을 모색해본다. 1. 현대제철 인천공장 셧다운, 무엇이 문제인가? 현대제철이 2025년 4월부터 인천 철근공장의 생산을 한 달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창사 이래 최초의 전면 셧다운으로, 국내 철강산업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① 철근 수요 급감 한국 철근 시장은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해 극심한 수요 감소를 겪고 있다. 2023년 1000만 톤을 넘던 철근 수요는 2024년 798만 톤으로 20% 이상 감소했으며, 2025년에는 600만 톤 이하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현대제철은 철근 가격이 생산 원가를 밑도는 상황에서 더 이상 적자를 감당하기 어려워 셧다운을 결정한 것이다. 철강업계는 최근 몇 년간 전기료 인상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큰 부담을 겪고 있다. 현대제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국내에서 세 번째로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기업으로, 3년 동안 산업용 전기료가 70% 가까이 오르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었다. ② 생산 비용 급등 ③ 노사 갈등과 경영 부담 강성 노조의 요구로 인한 임금 상승과 노동환경 개선 비용도 부담이 되고 있다. 현대제철 노조는 지속적인 파업과 단체 행동을 통해 경영진과 대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