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의 무기 공개한 현대차
현대차그룹, SDV 핵심 기술 공개 (자율주행, OS, LLM)
현대자동차그룹이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SDV)**을 위한 3대 핵심 기술을 공개하며 모빌리티 테크 기업으로의 진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 25’**에서 **자율주행 AI(아트리아 AI), 차량 OS(플레오스 비히클 OS), 거대언어모델(글레오 AI)**을 선보였다. 이는 테슬라, 화웨이와 같은 선도 업체들이 이미 개발 중인 핵심 기술로, 현대차그룹은 이들을 따라잡기 위해 자체적인 기술력으로 대응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2027년 말까지 양산차에 적용할 계획도 발표하며 자율주행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발표를 통해 단순한 완성차 제조업체를 넘어 소프트웨어 중심의 모빌리티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SDV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AI 자율주행, OS, LLM
SDV는 차량을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닌 스마트 디바이스로 변화시키는 개념으로, AI와 OS, LLM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날이 덥고 피곤하다”라고 말하면 차량 내 AI가 이를 인식해 마사지 시트를 작동하고, 차량 온도를 조절하며, 자주 방문하는 장소를 추천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테슬라와 화웨이처럼 레이더·라이다 센서를 최소화하고 카메라와 AI만으로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엔드 투 엔드’ 방식을 채택했다. 이날 행사에서 공개된 **‘아트리아(Atria) AI’**는 현대차그룹의 자율주행 AI로, 2025년 3분기 SDV 시험 차량(페이스카)에 적용될 예정이며, 이후 2027년부터 양산차에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또한, 차량 OS인 **‘플레오스 비히클 OS’**도 공개됐다. 이는 스마트폰의 iOS나 안드로이드처럼 차량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 차량은 하드웨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 OS를 통해 차량 내 모든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통해 차량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새로운 기능 추가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공개된 **‘글레오(Gleo) AI’**는 거대언어모델(LLM)로, 차량 내에서 자연어 기반의 음성 명령을 지원한다. 날씨나 교통정보뿐만 아니라, 차량 내에서 목적지 검색, 일정 관리, 결제 서비스까지 음성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폭스바겐이 오픈AI의 챗GPT를 적용하려는 움직임과 비교되며, 현대차그룹이 자체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네이버·삼성·구글과의 협업,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확장
현대차그룹은 SDV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와의 협업이 눈길을 끌었다. 네이버는 현대차 SDV의 모빌리티 AI 에이전트 파트너로 참여하며, 차량 내 네이버 앱과 네이버 지도를 탑재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출근길 브리핑해 줘”라고 하면 차량이 자동으로 회사까지 길 안내를 시작하고, 네이버 앱이 날씨, 뉴스, 일정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 내에서 네이버 AI를 활용해 음식점 검색, 메뉴 주문, 결제까지 음성으로 처리하는 기능도 지원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현대차그룹은 삼성전자, 구글, 쏘카 등과 협력해 SDV의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차량 내 AI 시스템을 보다 정교하게 만들고,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연동해 차량이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스마트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차그룹의 이번 발표는 단순한 기술 공개를 넘어,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한 소프트웨어 중심의 미래 전략을 명확히 제시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자체 AI 및 OS 개발을 통해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협업을 통해 생태계를 확장하며, 궁극적으로 ‘모빌리티 테크 컴퍼니’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앞으로 현대차그룹의 SDV 기술이 시장에서 어떤 반응을 얻을지 주목된다.